유리난간, 건축물 내부 및 외부에 개방감과 세련된 디자인으로 적용 증가

-철제나 목재난간 대비 투명성과 미려한 외관 장점, 안전성 확보해 고급스런 건축물 완성

유리난간은 건축물 내부 및 외부에서 개방감과 세련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강화유리를 접합가공해 안전성은 유지하면서 유리 고유의 투명성을 극대화시킨 것이 장점으로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철제 난간 또는 목재 난간과 달리 투명성과 미려한 외관이 특징이며, 건축물의 고급화 및 우수한 조망 권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시각적 방해 요소가 없어 보다 넓고 개방적인 공간 연출이 가능해 고급스러운 현대적이고 미니멀한 건축 스타일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유리난간은 건물 내부 및 외부 계단과 발코니, 옥상, 데크, 수영장, 카페 등을 비롯해 아파트 철제난간 및 입면 분할창을 유리 난간으로 다수 대체되고 있다. 특히, 현재 아파트에서 개방감 향상을 위해 외부 철재난간 또는 입면분할 수평보강 프레임을 제거하고 유리로 난간대를 구현하도록 발코니 이중창호 사이에 프레임 없이 유리를 삽입하는 매립형 유리난간은 아파트 등 주거용 건축물의 철재난간대를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하중 및 저항력 실험근거 및 적합사양 등을 철저하게 사전에 검토해야한다.
유리난간은 단판 강화유리 보다 판유리를 강화가공 후에 다시 접합가공을 통해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는 것이 좋다. 특히, 구조력이나 안전성이 요구되는 곳에는 검증된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유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개방감과 조망권이 목적인 유리 난간은 저철분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옵션이 될 수 있다.
저철분유리는 철분 함량이 낮아 투명도가 뛰어나고, 고급스러운 미관을 제공해 고급 건축물이나 호텔, 백화점, 쇼핑몰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유리 난간의 고정은 유리를 금속 프레임(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으로 감싸는 방식과 볼트 고정식으로 유리를 직접 스테인리스 클램프(포인트 피팅)로 벽 또는 바닥에 고정해 설치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구조용 중간막을 적용해 접합유리 자체만으로 구조력을 갖춰 프레임 없이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더욱 고급스러운 연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리난간 시공 시 고려 사항
유리 두께 & 강도 : 사용 용도에 따라 강화유리, 접합유리 사용
건축법 및 안전 규정 준수 : 국내 건축법에 따라 고층 건물 외부 난간에는 접합유리 사용 필수
바람 & 충격 하중 고려 : 외부 난간은 강풍과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 필요
방수 및 부식 방지 : 외부 난간의 경우 스테인리스 316 등급 사용 추천

>>유리난간 장점 및 적용 사례
건물 내부 계단 난간 → 깔끔하고 모던한 분위기 연출
발코니 & 베란다 난간 → 탁 트인 개방감 제공
옥상 난간 → 높은 안전성 요구돼 접합유리 필수
수영장 주변 난간 → 물과 조화로운 미려한 디자인,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활용
전망대 & 상업시설 → 투명한 유리 난간을 통해 경관 극대화

아파트 발코니(베란다) 철재난간을 유리난간으로 교체하는 법제화 및 기준
아파트 발코니(베란다) 난간을 기존의 철재난간에서 유리난간으로 교체하는 경우, 법적 기준과 안전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한다. 현재 국내 건축법에서는 난간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특히 고층 건물의 난간 변경 시 구조 안전 및 건축 기준법을 따라야한다.

관련 법규 및 기준
건축법 시행령(난간 설치 기준)
건축법 시행령 제40조에 따라 2층 이상 건물의 발코니·베란다 난간 높이는 최소 1.2m 이상. 난간 재료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파손 시 추락 위험이 없도록 설계.
유럽, 미국, 일본 등은 고급 아파트, 호텔, 상업 건물에 유리난간을 표준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도 고급 주택 및 신축 고층 아파트에서 유리난간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기존 아파트에서 개별 세대가 난간을 변경하는 것은 제한적이다.
유리난간은 건축법 개정 및 표준화가 진행되면, 향후 신축 및 리모델링 시장에서 더 보편화될 가능성 높다. [이은옥 기자]